생활안전 체험 VR 콘텐츠

생활안전 VR 콘텐츠

다중 사용자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재난 유형별, 생애 주기 별 특성에 따라 맞춤형 다자 참여 VR/AR 콘텐츠를 제공하며
프로파일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안전사고 교육 효과 향상을 목적으로 합니다.

Face-based VR Toolkit

생활안전 체험 교육을 위한 실감형 콘텐츠 개발

시스템 구성

기대 효과

항목 As-Is To-Be 효과
서비스 국민 대상 위험 및 재난 정보 전달 국민 유형별, 선호도별, 사용 단말별 맞춤형 위험 및 재난 정보 전달 위험 및 재난 정보가 국민 대상별로 효과적으로 전달 가능하고, 상황 인지 능력 및 대응력 향상
콘텐츠 재난 안전 콘텐츠 개발을 위해 각 교육 장소별 별도 콘텐츠 제작 가능 여러 재난안전 교육 장소에서 동일하게 사용 가능한 콘텐츠 및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하며, 교육 효과 증진 및 콘텐츠 제작 비용 절감하고 다양한 적용 가능한 재난안전 콘텐츠 저작 지원 학습 대상 시나리오별 가상 체험 콘텐츠를 구현하기 위해 학교, 직장 등 다양한 교육 환경을 체험 공간으로 확장하여, 시간과 공간에 제약 없이 몰입도 높은 훈련을 이용하며 저작툴을 진행하면서 손쉽게 재난안전 체험 콘텐츠 저작이 가능해짐
접근성 장애 정도나 나이, 성별, 국적 등 다양한 사유로 인해 발생하는 사용자의 특정 요구 (specific needs)에 대응하지 못함 생활안전 예방 서비스 접근성 강화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프로파일링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춘 맞춤형 정보와 기능 제공

저작도구

저작도구 실행화면

첫 화면

촬영

프로파일 분석

  • 사용자를 촬영하여 얼굴을 탐지하고, 얼굴 인식 모델을 통해 얼굴 인식 데이터(나이, 성별, 얼굴 정보 임베딩 벡터) 수집.
  • 얼굴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Client(VR) 측에서 데이터 요청 시, 사용자 정보(성인 및 아이 인원수, 총 인원수, 지정 시나리오, 사용자의 나이, 성별 등) 전송.
  • 사용자의 얼굴 인식 데이터를 DB 데이터와 비교하여 기존 사용자/신규 사용자 구분.

콘텐츠

생애주기 기준

※행정안전부 생애주기별 안전교육지도 (Korean Age-specific Safety Education Map, KASEM) 기준

시나리오

항목 가정집 지하철 학교
유형 화재 안전 시설 안전 시설 안전
상호 작용 전기 플러그 뽑기, 소화기 사용하기, 화재 신고하기 소화기 사용하기, 비상 레버 사용하기, 화재 신고하기 환기하기, 마스크 쓰기, 책상 닦기, 손 소독하기
목적 가정집 내 화재 예방 및 대응 지하철 내 화재 대응 학교 내 감염병 예방
교육 효과 소화기 사용법 습득, 전기 사용 안전 관리법 습득, 전기 사고 시 대처 요령 습득 다중 이용 시설 위험 인지 및 안전사고 대처, 다중 이용 시설 내 안전 시설 이용법 습득 개인 위생 실천, 감염병 전파 예방 수칙 실천

가정집

케이블

전화 신고

화재 진압

탈출

지하철

비상 인터폰

소화기 사용

탈출 구역 이동

수동 개폐 레버 조작

학교

손 오염 및 주변 소독

마스크 전달

환기 진행

환기 진행

* 가격정보 : 연간 라이센스 기준 (1 Year)
* 1 User : 300만원(부가세별도)
* Multi User : User 2~4인, 240만원(20%할인, user기준)
User 5인 이상 , 180만원(40%할인, user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