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비식별화

SQML-DI v1.0 (GS 1등급 인증)/조달등록/특허제품

대용량 동영상 작업 스케쥴링을 위한 동적 가상화 노드를 관리하며 최적의 성능작업 시간 단축을 지원합니다

주요기능

policy AI 기반 실시간 비식별화 처리 전체 비식별화 기능(Auto기능), 수동 비식별화 기능(사용자 선택)
얼굴, 차량번호판, 상점 간판 등 자동탐지 및 마스킹(블러, 모자이크, 안면대체 등)
특정 객체 제외 기능 지원
최신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97% 이상의 인식률, 재식별 오류율 3% 미만 성능
고속 병렬 처리를 위한 가상화 솔루션 인터페이스 지원 SQL / REST-API
desktop_cloud 고속 병렬처리를 위한
가상화 시스템 지원
대규모 CCTV 영상의 실시간 고속 처리 기능
쿠버네티스(Kubernetes) 기반의 분산 병렬 처리기능
(자동 노드 등록 및 리소스 모니터링/스케쥴 기능)
CPU, GPU, FPGA 등 다양한 인프라에서 최적화된 성능 제공
POD 및 컨테이너 실시간 모니터링 지원
settings 다양한 환경에서 인물 및
객체의 비식별처리
주/야간, 악천후 날씨, 국내 및 해외번호판 등을 고려한 영상처리
고객의 사용환경에 맞춰 대용량의 영상 및 이미지 처리기능
얼굴 변환 기술을 적용하여 영상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고 개인 식별 정보를 효과적으로 보호
smb_share 확장성 및 유연성 고려 클라우드 기반 환경을 지원하며 독립적으로 배포 및 확장가능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게 선택적 기능지원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가능(방범/치안, 스마트시티, 모빌리티, 산업안전, 의료분야 등)
자율주행/재난 및 방범 CCTV 제조 업체, 이미지 프로세싱을 위한 연구소, 관련 학과 등에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로 활용 가능
실시간 데이터 트래픽 최적화를 위한 동적 해상도 조절 기능
database_upload 통합 대시보드를 통한
효율적 업무 관리 지원
실시간 비식별화 성능 및 작업량 관리 기능
알고리즘 기능별 및 모니터링 채널 관리 (가격 정책)
AI학습모델(재해유형)별 선택기능 및 서비스 지원
자동 보고서 출력기능 및 통계 기능 제공
devices 요청 결과 처리 및 현황 분석 보고서 기능 요청 비식별 업무의 최종 인식율 및 오류율 보고서 제공
히스토리 기능의 작업자 및 요청 기관의 업무 리포팅 시스템 제공

기술특징

본 소프트웨어는 영상기반 개인정보 비식별화 시스템을 구축, 관리하는 솔루션입니다. 본 비식별화 시스템은 동영상에서 사람의 얼굴 영역과 자동차 번호판 영역을 고정된 얼굴 템플릿과 번호판 템플릿으로 채워 비식별화를 수행합니다. 이후 비식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식별을 진행하여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로 사용 가능 할 수 있게 유지를 합니다.

실시간 CCTV 통합 비식별 솔루션 특장점

자산
  • 고속영상 데이터 개인정보 비식별화
  • 실시간 스트리밍 개인정보 비식별화 및 데이터 개방 API 지원
  • 영상 데이터 개인정보(얼굴/번호판/위치정보/간판) 자동/수동 마스킹 처리
  • 고속 병렬 처리를 위한 가상화 시스템 지원
    (노드 등록, 서버 자원 모니터링/스케줄링 기능 제공)
  • 요청 결과 처리 및 현황 분석 보고서 기능
  • 프로젝트 관리 및 실행 목록 관리, 이력조회, 시스템 분석 및 통계 등 UI 기반 편의 기능
분산클러스터
  • 비식별 대상 파일은 로컬 / 원격 / 실시간 스트리밍 지원이 가능합니다
  • 분산노드의 최적화 스케쥴링을 통하여 진행율과 대기상태, 자원 상태를 관리합니다
  • 비식별 완료된 영상의 최종 식별 및 오차범위를 확인합니다
  •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실시간 처리 영상들 (RTMP, UDP) 확인합니다
  • 요청 비식별 업무의 최종 식별률 및 오류 보고서를 제공합니다
  • 자동 비식별이 완료된 프로젝트의 재탐지 시/재식별에 대한 오차 범위를 확인하며, 수동 비식별 업무를 진행하여 특정 프레임을 포함하여 에디팅을 진행합니다
  • 쿠버네티스 및 KVM 등의 가상화 환경의 동적 노드 리소스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합니다
  • 작업자 및 요청자(기관)등의 리스트를 관리합니다
  • 비식별 처리 시스템의 분석 및 통계 자료를 제공합니다

개인정보 비식별화 필요성

프라이버시 침해 및 개인정보 악용 범죄 악용 가능성
CCTV, 블랙박스, 드론 영상 등에서 유출된 얼굴 및 차량 번호판 정보는 개인의 이동 경로와 생활 패턴을 노출시키고, 특정인의 방문 장소나 이용 차량과 같은 민감한 정보를 쉽게 추적할 수 있게 하여 심각한 사생활 침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유출된 얼굴 및 차량 번호판 정보는 사기, 신원 도용, 스토킹, 도난 범죄 등에 악용될 수 있으며, 차량 번호판이 유출되면 불법 차량 복제나 주차 위반, 도난 차량 위장 등에 사용될 수 있고, 얼굴 데이터 유출 시에는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사기 및 허위 영상 조작까지 가능해져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기업 및 공공기관의 법적 책임 증가 신뢰도 하락 및 기업 이미지 타격
공공기관, 교통관제 시스템, 모빌리티 기업, 택시, 공유 차량, 보험사 등 다양한 기관 및 기업에서 개인정보 보호 조치를 소홀히 하여 얼굴 및 차량 번호판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될 경우, GDPR, CCPA, 국내 개인정보 보호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영상 데이터 유출은 기업의 신뢰도 하락, 법적 소송 및 과징금 부과로 이어질 수 있으며, AI 기반 영상 분석 시스템 도입 시 개인정보 보호 조치가 미흡하면 시민과 사용자들이 거부감을 느껴 서비스 확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필요성의 결론

얼굴 및 차량 번호판 정보는 개인 신원 노출 위험이 크므로, AI 기반 비식별화 기술(자동 블러, 모자이크, 가명화 등) 적용, 데이터 저장 시 암호화 및 접근 통제 시스템 도입, 그리고 공공기관 및 기업의 개인정보보호법(GDPR, CCPA 등)에 맞춘 보안 정책 강화가 필수적입니다.

비식별화 방법

영상 기반 개인정보 비식별화는 영상에 포함된 개인 식별 정보를 전체 제거, 일부 제거 또는 다른 정보로 대체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개인 식별 정보로는 사람 얼굴, 자동차 번호판이 있습니다. 비식별화 방법으로는 개인 식별 정보 영역을 마스킹, 잡음추가, 흐림적용(Blur), 다른 정보 합성 등이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각각의 비식별화 방법의 예시입니다.
실제 적용 사례
cap1 cap2
cap3 cap4
cap5 공장1
공장2 공장3

적용 가능한 사례

국내
보험사고 재난/재해
보험사고 재난재해
해외
경찰 바디캠 대중 교통
경찰바디캠 대중교통
공항 쇼핑센터
공항 쇼핑센터

공인인증 시험

평가항목
(주요성능)
단위 목표치 세부내용
객체 탐지 정확도 % 97% - 비식별 대상 객체탐지 정확도 = (정확한 객체 탐지수/전체 객체수) × 100%
- 객체탐지 정확도에 사용할 영상데이터는 임의 지정된 영역 내에서 객체 탐지하고, 그 범위는 시험기관과 협의·조정하여 결정
실시간 객체 탐지 동시 처리 채널 수 20ch - 단일 GPU(NVIDA A6000)에서 실시간 동시 처리 가능한 비디오(1080p, 15FPS) 채널 수
이미지 업스케일링 기능지원 Y/N Y - 1080p이하의 저해상도 비디오 프레임을 1080p 이상의 고해상도 이미지로 업스케일링
API 및 가이드 제공 Y/N Y - 영상기반 비식별화 작업 관리 API 제공
특정 객체 비식별화 제외 기능 지원 Y/N Y - 특정 객체에 대한 비식별화 제외기능
실증 대상 도메인 수 5 - 교통정보, 실내, 실외(드론/UAM), 제조, 의료 등 5종 이상의 실증 분야를 포괄적으로 지원
개인정보 보호 암호화 Y/N Y - 개인정보 보호 암호화 기능 제공
영상 기반 비식별화 기능 3 영상 기반 비식별화 방식 종류가 3종 이상이어야 한다

인증서

일시 주요실적(분야) 활용기관
2024. 12 개인정보비식별화 솔루션(국가교통빅데이터구축) 한국도로공사
2024. 10 개인정보비식별화 솔루션(가명정보활용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2024. 09 개인정보비식별화 솔루션(방범 및 교통분야) ㈜LG전자
2024. 02 개인정보비식별화 솔루션(도시침수 통합정보시스템) 부산광역시
2023. 09 세종시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CCTV영상 AI분석시스템 세종테크노파크
2023. 02 국가기반시설 데이터댐 구축사업(영상관리시스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3. 01~
2024. 12
AI-메타버스 기반 산업재난 안전관리체계 강화(충북과학기술혁신원) 중소기업(20개社)
2022. 12 개인정보비식별화 솔루션(국가기반시설 방범분야) ㈜올포랜드
2022. 06 개인정보비식별화 솔루션(ITS교통분야)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2021. 12 세종시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를 위한 비식별화 솔루션 ㈜LG유플러스
2021. 12 개인정보비식별화 솔루션(자율주행 빅데이터관제센터) 세종테크노파크

홍보영상

개인정보 비식별(엣지 디바이스)

자율주행 활용을 위해 수집되는 상황, 환경 데이터 및 학습용 데이터셋을 구축 가능한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비식별화(가명화/익명화) 실시간 처리장치

주요기능

임베디드 개인정보 비식별 장치

소형 임베디드 저사양 장치에서의 실시간 개인정보 비식별 장치 프로세스
임베디드 기반의 이동형 소형 탈착 기반 실시간 개인정보 비식별장치

제품 기술 특징

개인정보 비식별화 하드웨어 디자인(안)

CSI 카메라 센서 2CH

촬영

프로파일 분석

영상처리 장치 H/W 사양

  • 동시 듀얼 카메라 데이터 입력을 지원하는 13MPix/s급 4-Lane MIPI-CSI, dual ISP 비디오 입력부
  • 4K VP9 형식을 지원하고 4K 10bits H265/H265형식의 60fps급 디코딩을 지원하는 비디오 프로세서부
  • 4K@60Hz, HDCP 1.4/2.2를 지원하는 HDMI 2.0a 비디오 출력부

영상데이터 비식별화 Machine Learning 처리 모듈

  • Dual-Core Cortex-A72(up to 2.0GHz)와 Quad-Core Cortex-A53 (up to 1.5GHz)를 내장한 CPU
  • OpenGL ES1.1/2.0/3.0/3.1, OpenCL, DX11, AFBC를 지원하는 Mali-T864 GPU
  • Independent DC/DC, enabling DVFS, software power-down, RTC wake-up, system sleep mode 지원 가능한 RK808-D PMIC 내장 PMU
  • Dual-Channel 2GB DDR3 RAM
  • 개인정보 마스킹 및 재식별 방지 720p 15fps 실시간 인코더 S/W 모듈

floor plan

영상기반 개인정보 비식별화 정보

개인정보 보호 기술

국내 비식별화 정책

  • 최근 발간한 ‘가명정보 처리 가이드라인(24.02’,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는 과학적 연구 등 목적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가명처리한 비정형 데이터(이미지, 영상, 텍스트, 음성) 활용 하도록 개정
  • 한국은 정부 차원에서 개인정보보호와 활용을 동시에 보색하기 위해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을 제정 (2016년) - 비식별 조치 전문기관으로 한국인터넷진흥원, 금융보안원, 신용정보원, 한국정보화진흥원, 사회보장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지정 (부처별 기관 지정)
  • 개인정보보호 비식별 전담기관으로는 한국인터넷진흥원에 개인정보 비식별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관련된 비식별 조치에 대한 지원 수행

사회문제 해결 방안 개요

  • 현재 영상보안 플랫폼은 자율보호 체계 없이 방화벽 등 외부 보안 장치와 자체 폐쇄성에 의존하고 있음. 그래서 CCTV 영상 해킹에 의한 심각한 개인 사생활 침해, 범죄 악용 등이 발생하고 있다.
  • 비정형(영상) 실시간 CCTV 스트리밍을 다중 채널을 위한 비식별화(자동차, 간판, 사람, 사람얼굴 등)가 가능하며 실시간 안면 이미지를 가상생성하는 딥페이크 기술이 필요로 한다.
  • 한국지능정보사회지능원,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세종자율주행 빅데이터센터, 부산재난·도시침수통합센터, 충북 20여개 등의 제조 산업 시설 등에 활용되고 있다.

개인정보 가명 및 비식별화 기술

  • 국내 자율주행/교통관제등 대용량 빅데이터 기반으로 AI 모델을 학습하기 위한 데이터는 상당한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다루기 위해서는 비식별화 및 비식별화를 검증하는 기술의 표준화 활동 필요 하다.
  • CCTV 및 자율주행 등 비전 인식 기반의 AI 개발에 필요한 이미지, 영상 등 데이터를 비식별화 하는 기술이 활발하게 개발 진행 중 · 이미지, 영상에서 얼굴들의 정보를 흐리게 처리하면서 AI 학습은 가능하게 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며, 상용화 단계까지 왔지만 자율주행 시 보행자의 안면 정보가 차량의 이동 방향 또는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주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페이크 페이스(Fake-Face)’처리 기술과 같은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구분 사례1 사례2 사례3
개인 사생활 침해 주거지 침입 정보 도용 프라이버시 침해
CCTV 영상을 통해 사람들이 집에 없는 시간을 파악해 무단 침입 개인식별정보(얼굴 인식, 차량번호판 등)의 무단 캡처 및 유포 개인의 사적인 순간이나 취약한 상황을 녹화하여 인터넷에 유포
범죄 악용 감시 및 스토킹 물리적 침해 사이버 범죄
특정 개인의 일상을 불법적으로 감시하고 추적 공공장소나 개인 재산에 대한 범죄 계획 수립을 위해 CCTV 영상 활용 해킹된 CCTV 시스템을 통해 맬웨어배포나 네트워크 공격의 출발점으로 사용

CCTV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문제들은 영상 보안 플랫폼으로 방어해야 하며, 보안강화, 암호화 기술 적용(자율보호지능), 무단 접근 탐지(자율안전지능) 등이 내재된 표준화된 개방형 플랫폼을 개발하여 활성화를 통해 생태계를 조성해야 함